출처: https://daslyee.tistory.com/80 [Daslyee:티스토리]
1. 다운로드 : https://spring.io/tools
2. 여기서는 윈도우용으로 다운로드 후 jar 파일을 설치(더블클릭)
그렇다면 해당 폴더가 보일 것이고, 들어가서 SpringToolSuite4 실행
(한글이 없는 경로에 압축을 풀고, 실행하길 권장)
3. 프로젝트 생성(file > New > Spring StarterProject)
4. name과 group, package 등 이름을 정하고 취향에 맞게 java, war 설정 후 Next
5. 대중적인 Spring Web 선택 후 Next. 이게 뭔지 확인해보는 것도 개발 이론에 도움이 될듯
(boot 버전에 따라 보이는 것이 다름. 당황하지 말고 Spring Web Starter 중 포함된 글자 선택.)
6. Finish
7. 적용(다운로드)이 완료된 후 서버 실행 (서버 실행방법은 취향대로)
8. 서버 가동 확인 후, helloWorld를 표시하기 위해 package 생성 후 contorller 생성
9. console과 web에 간단하게 띄우기 위해 다음과 같이 코드 작성 후 서버 재기동.
http://localhost:8080/java , http://localhost:8080/web 으로 잘 나오는지 확인.
(jsp를 쓰지않고 web에서 나오게끔 설정을 하였음.)
@RestController
public class HelloController
{
@RequestMapping("/java")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System.out.println("helloWorld!!!");
}
@RequestMapping("/web")
public String reHello()
{
return "helloword!!!!!!!!!!!!!!!!!!!!!";
}
}
'웹개발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security CSRF 웹 취약 대응하기 ( CSRF 토큰 생성 및 체크 ) (1) | 2022.12.12 |
---|---|
Spring Java 수정 시 톰캣 재 실행 안하고 적용하기. (0) | 2022.07.26 |
스프링 properties 읽어오기 (0) | 2022.02.17 |
스프링 Filter 와 Listener (0) | 2022.02.16 |
스프링 Bean의 개념과 Bean Scope 종류 (0) | 2022.02.1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