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/기타

윈도우 블루스크린 자동 재시작 & 에러로그 보기

heavenLake 2024. 11. 14. 09:41
반응형

1. 개요


 

 

블루스크린 발생시에는 오류 코드명과 함께 QR코드를 보여준다.

이때, 컴퓨터 성능에 따라 미처 확인하지도 못했는데 시스템을 재시작하는 경우가 있다.

이는 설정에서 바꿀 수 있다.

이 글에서는 블루스크린이 발생하였을때의 다시 시작 동작 설정,

제어판에서 오류코드를 확인하는 법을 알아보고자 한다.

 


2. 블루스크린 설정

 

 

시스템 > 정보로 들어간다.

 

 

 

'고급 시스템 설정'을 클릭한다.

 

 

'시작 및 복구' 항목의 '설정(T)'을 클릭한다.

 

 

 

'자동으로 다시 시작' 항목 선택 여부에 따라 블루스크린이 발생했을 때 오류 정보 수집 후 자동으로 다시 시작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.

 

 

왼쪽 화면은 자동으로 다시 시작 항목을 선택했을 때, 오른쪽은 선택하지 않았을 때의 화면이다. (Win 8 기준)

 


 

 

해당 옵션은 메모리 덤프를 얼마나 기록할지 선택하는 옵션으로, 덤프 파일은 기본적으로 %SystemRoot%\MEMORY.DMP에 기록되며, %SystemRoot%는 Windows가 설치된 위치를 뜻하므로, 기본적으로

C:\Windows\MEMORY.DMP에 기록이 됨을 알 수 있다.

또한 추가적으로 C:\Windows\Minidump 폴더에 정보가 기록된다.


3. 안정성 모니터에서 오류코드 확인


 

다른 날의 수많은 오류는 무시하자. 대부분 삼성 기본 드라이버가 낸 것이다.

 

필자의 블루스크린 기록을 살펴보자.

해당 블루스크린은 외장 하드에 저장소를 둔 가상 머신을 두 개 정도 실행하다 발생한 것이다.

 

 

 

첫 번째 기록. Windows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고 한다. 

 

 

0x00오류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오류코드를 뜻하며, .0xffffb10c3c983a80는 검색을 해도 정보를 알 수 없는 오류코드이다.

 

두 번째 기록.

블루스크린 오류 코드와 덤프 파일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,

0x000000ca(PNP_DETECTED_FATAL_ERROR, 플러그 앤 플레이(Plug and Play) 장치 또는 드라이버에 문제 발생),

0x00000002(DEVICE_QUEUE_NOT_BUSY, 장치 대기열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) 오류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.

 

 

오류코드는 ca(0x000000ca)이고, 추가 매개 변수는 2(0x00000002)이다. 나머지는 정보를 얻을 수 없는 오류코드.

 

세 번째 기록.

블루스크린이 발생했음을 알리며, 오류코드, 발생한 OS 버전과 오류가 발생한 장치의 버킷 ID를 표시한다.


 

 

출처: https://sprout13.tistory.com/19 [잡다한 블로그-Spring13:티스토리]

반응형